[사회과학] [유물조사] 금동미륵반가사유상 - Japan 목조 반가사유상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9 18:28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유물조사] 금동미륵반가사유상 - 일본 목조 반가사유상 비교.pptx
_SLIDE_4_
Ⅱ. 반가사유상의 유례
미륵반가사유상은 인도에서부터 처음 되었다.
고구려와 백제를 거쳐 신라에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선덕여왕의 20세 전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라고도 추정된다된다.
당시 왕자들의 호사스러운 차림으로 갖은 보배로 장식한 천관 외에 귀걸이와 이중의 목걸이, 팔찌, 향...
_SLIDE_1_
금동 미륵 반가사유상
- 日本 목조 반가사유상 비교 -
_SLIDE_2_
Ⅰ. 머리말
Ⅱ. 반가사유상의 유례
Ⅲ. 국보 제 83호 금동미륵반가사유상
Ⅳ. 광륭사 목조반가사유상의 비교
Ⅴ. 맺음말
※ bibliography ※
_SLIDE_3_
Ⅰ. 머리말
반가사유상은 한 손으로 턱을 괴고 한쪽 다리를 반대편의 무릎 위에 얹은 사유의 상으로 6세기부터 7세기 무렵 만들어졌다.
_SLIDE_4_
Ⅱ. 반가사유상의 유례
미륵반가사유상은 인도에서부터 처음 되었다.
초기 불교 전래 시기의 삼국에서 만들어져, 삼국통일 초기까지만 유행했던 독특한 양식의 불상이다
대표적인 국보 금동 동상은 국보 78호, 83호 미륵반가사유상이 있다 본고에서는 국보 83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을 다루고자 한다.
china의 북위시대를 지나면서 더욱 일반화 되기 처음 했다.
_SLIDE_6_
Ⅲ. 국보 제 83호 금동미륵반가사유상
국내 최대의 금동제 반가상으로 그 높이가 93.5㎝에 달하고 우리나라 반가사유상 가운데 가장 중요하고 뛰어난 작품이다.
금동미륵반가사유상
_SLIDE_7_
금동동상은 일제 초기에 日本 인들에 의해 은밀하게 약탈되…(skip)
사회과학,유물,금동미륵반가사유상,일본,목조,반가사유상,비교,인문사회,레포트
다.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사회과학] [유물조사] 금동미륵반가사유상 - 일본 목조 반가사유상 비교.pptx( 72 )
[사회과학] [유물조사] 금동미륵반가사유상 - Japan 목조 반가사유상 비교
설명
순서
![[사회과학]%20[유물조사]%20금동미륵반가사유상%20-%20일본%20목조%20반가사유상%20비교_pptx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5B%EC%9C%A0%EB%AC%BC%EC%A1%B0%EC%82%AC%5D%20%EA%B8%88%EB%8F%99%EB%AF%B8%EB%A5%B5%EB%B0%98%EA%B0%80%EC%82%AC%EC%9C%A0%EC%83%81%20-%20%EC%9D%BC%EB%B3%B8%20%EB%AA%A9%EC%A1%B0%20%EB%B0%98%EA%B0%80%EC%82%AC%EC%9C%A0%EC%83%81%20%EB%B9%84%EA%B5%90_pptx_01.gif)
![[사회과학]%20[유물조사]%20금동미륵반가사유상%20-%20일본%20목조%20반가사유상%20비교_pptx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5B%EC%9C%A0%EB%AC%BC%EC%A1%B0%EC%82%AC%5D%20%EA%B8%88%EB%8F%99%EB%AF%B8%EB%A5%B5%EB%B0%98%EA%B0%80%EC%82%AC%EC%9C%A0%EC%83%81%20-%20%EC%9D%BC%EB%B3%B8%20%EB%AA%A9%EC%A1%B0%20%EB%B0%98%EA%B0%80%EC%82%AC%EC%9C%A0%EC%83%81%20%EB%B9%84%EA%B5%90_pptx_02.gif)
![[사회과학]%20[유물조사]%20금동미륵반가사유상%20-%20일본%20목조%20반가사유상%20비교_pptx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5B%EC%9C%A0%EB%AC%BC%EC%A1%B0%EC%82%AC%5D%20%EA%B8%88%EB%8F%99%EB%AF%B8%EB%A5%B5%EB%B0%98%EA%B0%80%EC%82%AC%EC%9C%A0%EC%83%81%20-%20%EC%9D%BC%EB%B3%B8%20%EB%AA%A9%EC%A1%B0%20%EB%B0%98%EA%B0%80%EC%82%AC%EC%9C%A0%EC%83%81%20%EB%B9%84%EA%B5%90_pptx_03.gif)
![[사회과학]%20[유물조사]%20금동미륵반가사유상%20-%20일본%20목조%20반가사유상%20비교_pptx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5B%EC%9C%A0%EB%AC%BC%EC%A1%B0%EC%82%AC%5D%20%EA%B8%88%EB%8F%99%EB%AF%B8%EB%A5%B5%EB%B0%98%EA%B0%80%EC%82%AC%EC%9C%A0%EC%83%81%20-%20%EC%9D%BC%EB%B3%B8%20%EB%AA%A9%EC%A1%B0%20%EB%B0%98%EA%B0%80%EC%82%AC%EC%9C%A0%EC%83%81%20%EB%B9%84%EA%B5%90_pptx_04.gif)
![[사회과학]%20[유물조사]%20금동미륵반가사유상%20-%20일본%20목조%20반가사유상%20비교_pptx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5B%EC%9C%A0%EB%AC%BC%EC%A1%B0%EC%82%AC%5D%20%EA%B8%88%EB%8F%99%EB%AF%B8%EB%A5%B5%EB%B0%98%EA%B0%80%EC%82%AC%EC%9C%A0%EC%83%81%20-%20%EC%9D%BC%EB%B3%B8%20%EB%AA%A9%EC%A1%B0%20%EB%B0%98%EA%B0%80%EC%82%AC%EC%9C%A0%EC%83%81%20%EB%B9%84%EA%B5%90_pptx_05.gif)
![[사회과학]%20[유물조사]%20금동미륵반가사유상%20-%20일본%20목조%20반가사유상%20비교_pptx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5B%EC%9C%A0%EB%AC%BC%EC%A1%B0%EC%82%AC%5D%20%EA%B8%88%EB%8F%99%EB%AF%B8%EB%A5%B5%EB%B0%98%EA%B0%80%EC%82%AC%EC%9C%A0%EC%83%81%20-%20%EC%9D%BC%EB%B3%B8%20%EB%AA%A9%EC%A1%B0%20%EB%B0%98%EA%B0%80%EC%82%AC%EC%9C%A0%EC%83%81%20%EB%B9%84%EA%B5%90_pptx_06.gif)
[사회과학] [유물조사] 금동미륵반가사유상 - 일본 목조 반가사유상 비교 , [사회과학] [유물조사] 금동미륵반가사유상 - 일본 목조 반가사유상 비교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유물 금동미륵반가사유상 일본 목조 반가사유상 비교
[사회과학] [유물조사] 금동미륵반가사유상 - Japan 목조 반가사유상 비교
_SLIDE_1_
금동 미륵 반가사유상
- 日本 목조 반가사유상 비교 -
_SLIDE_2_
Ⅰ. 머리말
Ⅱ. 반가사유상의 유례
Ⅲ. 국보 제 83호 금동미륵반가사유상
Ⅳ. 광륭사 목조반가사유상의 비교
Ⅴ. 맺음말
※ bibliography ※
_SLIDE_3_
Ⅰ. 머리말
반가사유상은 한 손으로 턱을 괴고 한쪽 다리를 반대편의 무릎 위에 얹은 사유의 상으로 6세기부터 7세기 무렵 만들어졌다.
초기 불교 전래 시기의 삼국에서 만들어져, 삼국통일 초기까지만 유행했던 독특한 양식의 불상이다
대표적인 국보 금동 동상은 국보 78호, 83호 미륵반가사유상이 있다 본고에서는 국보 83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을 다루고자 한다.
머리에 3면이 둥근 산 모양의 관을 쓰고 있어서 ‘삼산반가사유상(三山半跏思惟像)`으로도 불린다.
양식적인 특징은 성숙하지 않은 어린 소녀상이나 여성적 용모를 갖춘 미소년상과 같이 가냘픈 몸매를 갖게 되었다.
당시 왕자들의 호사스러운 차림으로 갖은 보배로 장식한 천관 외에 귀걸이와 이중의 목걸이, 팔찌, 향주머니 등을 맨 가슴걸이 등으로 요란한 치장을 하고 있다
반가사유상
_SLIDE_5_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간다라지역에서 다른 보살상과 마찬가지로 수염이 소멸하고, 거의 여체와 비슷한 모습으로 變化하게 된다된다.
성불(成佛)하기 전의 태자인 미륵보살의 차림새이다.
성불(成佛)하기 전의 태자인 미륵보살의 차림새이다.